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⚾ 투수 기록, 이것만 알면 된다! 승리투수 / 세이브 / 홀드 / 블론 완전 정복

스포츠/KBO

by 레벨업중입니다만 2025. 5. 3. 07:45

본문

반응형

 

야구 중계를 듣다 보면 자주 듣게 되는 투수 기록 용어들!
야구를 보다 보면 홀드(Hold) 는 기록되었는데, 세이브(Save) 는 기록되지 않는 경기가 종종 있습니다.
승리투수(W), 세이브(SV), 홀드(HLD), 블론(BS) 한 번에 쉽게 설명드릴께요!! 

 
승리투수 (W: Win)

팀이 이긴 경기에서 승리를 가져간 투수를 말해요.
선발투수라면?
▶ 5이닝 이상 던지고 리드한 상태로 내려와야 승리투수 가능!
중간 계투나 마무리라면?
▶ 경기 중 리드를 잡은 직후 투수였던 경우 승리투수가 됩니다.
 
💡 간단히 말해 "내가 던지고 있을 때 우리 팀이 앞서기 시작하고, 그걸 끝까지 지키면" 승!
 

세이브 (SV: Save)

팀이 리드하고 있는 상황을 끝까지 지킨 마무리 투수에게 주는 기록이에요.
보통 3점차 이내일 때 등판해 경기를 마무리하면 세이브 기록!
혹은 주자가 있는 위기상황(예: 동점 위기)에서 들어와도 세이브 인정됩니다 
 
💡 "팀 승리를 지켜낸 수호신!" 이 바로 세이브.
 
세이브 기회를 잡았던 투수가 리드를 지키지 못했을 때를
"세이브가 깨졌다" 혹은 "블론 세이브(Blown Save)"라고 해요.
 
꼭 직접 점수를 내줘야 하는 건 아니에요 
남긴 주자가 홈을 밟아도 블론이 될 수 있어요

세이브 상황 기준 : 9회에 3점 차 이내, 주자 있는 위기상황,
동점상황(추가실점하면 역전) 등에서 들어온 투수가 대상입니다 


블론 세이브가 되어도 팀이 결국 이기면?
👉 투수가 패전투수는 아니고, 경우에 따라 승리투수가 될 수도 있어요. (조금 억울하게 보이기도 함 😂)
 
9회초 2-1로 앞서고 있던 팀, 마무리 투수 등판
하지만 솔로홈런 맞아 2-2 동점 ➔ 블론 세이브
이후 팀이 추가점 내서 다시 이기면 ➔ 팀 승리지만 투수는 블론 기록 남아요
 
세이브 조건을 다시 보면:

1. 리드가 3점 이내 + 1이닝 이상 던질 때
2. 동점상황에서 등판해 리드 지키기
3. 주자 있는 상태에서 등판해 동점 또는 역전될 위기에서 리드 지키기
✅ 그리고 세이브를 받으려면 최종 이닝까지 던져서 경기를 끝내야 해요 (보통 9회 마무리)


 
홀드 (HLD: Hold)

세이브 상황으로 이어지도록 리드를 지켜낸 중간계투 투수에게 주는 기록입니다.
승리도 세이브도 아니지만, 리드를 이어준 투수에게!
선발 → 중간계투(홀드) → 마무리(세이브) 이렇게 연결되기도 해요.

💡 "내가 던질 때는 절대 역전당하지 않았다" 는 증거!
 

블론 (BS: Blown Save)

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동점/역전을 허용한 경우를 블론이라고 해요.
주로 마무리투수가 세이브 기회를 날려먹으면 발생.
하지만 중간계투도 블론이 될 수 있어요.

💡 "잡았던 승리를 놓쳤다" 고 보면 됩니다.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